구분 | 벽부형 충전기 | 스탠드형 충전기 | 이동형 충전기 |
---|---|---|---|
용량 | 3~7kW | 3~7kW | 3kW(Max) |
충전시간 | 4~6시간 | 4~6시간 | 6~9시간 |
특징 | 분전함, 기초패드 설치 U형 볼라드, 차량스토퍼, 차선도색(설치 또는 미설치) 충전기 위치가 외부에 설치되어 눈, 비에 노출될 경우만 캐노피 설치 |
220V 콘센트에 간단한 식별장치(RFID 태그) 부착하여 충전-태그가 부착된 다른 건물에서도 충전 가능 |
충전속도에 따른 분류
급속
충전시간 : 15~30분
공급용량 : 50kW
사용요금 : 100km 당 2,700원
주로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등 외부장소에 설치
완속
충전시간 : 4~5시간
공급용량 : 3~7kW
사용요금 : 100km 당 1,100원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에 설치
설치유형에 따른 분류
커넥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 및 차량측 소켓
구분 | AC단상 5핀(완속) | AC3상 7핀(급속/완속) | DC차데모 10핀(급속) | DC콤보 7핀(급속) |
---|---|---|---|---|
충전기 커넥터 | ![]() |
![]() |
![]() |
![]() |
차량측 소켓 | ![]() |
![]() |
![]() |
![]() |
차량측 소켓 | 블루온, 레이, 쏘울, 아이오닉, 스파크, i3, Leaf, 볼트 | SM3 | 블루온, 레이, 쏘울, 아이오닉, Leaf | 스파크, 볼트, 아이오닉, i3, 코나 |
구분 | 차종 | 충전방식 | |
---|---|---|---|
급속 | 완속 | ||
현대기아차 | 블루온, 레이, 쏘울, 아이오닉 | DC차데모(10pin) | AC단상(5pin) |
아이오닉, 코나, 니로, 쏘울 | DC콤보(7in) | ||
르노삼성 | ZOE | DC콤보(7pin) | AC단상(5pin) |
SM3 ZE | AC3상(7pin) | AC단상(7pin) | |
한국GM | 스파크, 볼트 | DC콤보(7pin) | AC단상(5pin) |
BMW | i3 | DC콤보(7pin) | AC단상(5pin) |
닛산 | Leaf | DC차데모(10pin) | AC단상(5pin) |
전기차 충전요금
내연기관차 유류비와 전기차 충전요금 비교
구분 | 휘발유차 (아반떼1.6) |
경유차 (아반떼1.6) |
전기차(아이오닉) | |||
---|---|---|---|---|---|---|
완속 (개인용) |
급속 | |||||
인하 전 ('16년') |
인하 후 ('17년') |
그린카드 추가할인 |
||||
연비 | 13.1km/L | 17.7km/L | 6.3km/kWh | 6.3km/kWh | 6.3km/kWh | 6.3km/kWh |
연료비 | 1,499.65원/L | 1,282.58원/L | 71.3원/kWh | 313.1원/kWh | 173.8원/kWh | 86.9원/kWh |
100km당 연료비 | 11,448원 | 7,302원 | 1,132원 | 4,970원 | 2,759원 | 1,379원 |
연간 연료비* | 157만원 | 100만원 | 16만원 | 68만원 | 38만원 | 19만원 |
※ 유류비는 '17.1.6 전국 평균가격 적용
* 연간 13,724km 주행 기준('14, 교통안전공단 승용차 평균주행거리 적용)
주행거리별 5년간 총 비용 (차량구매가격 + 연료비)
구분 | 연 13,724km (승용차 평균) |
연 18,250km (전기차 이용자 평균) |
연 22,962km (승용-영업용 차량 평균) |
---|---|---|---|
디젤 | 27,724,357 | 29,314,117 | 30,969,207 |
아이오닉 | 21,972,233 | 22,228,405 | 22,495,105 |
SM3 | 21,243,462 | 21,610,068 | 21,991,738 |
쏘울 | 23,663,066 | 13,985,770 | 24,321,735 |
리프 | 28,411,689 | 28,721,949 | 29,044,954 |
i3 | 41,126,203 | 41,399,573 | 41,684,178 |
환경적 측면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해결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30% 이상이 경유차 등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서,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아파트 주변도로, 지하주차장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배출가스는 인체 위해도가 매우 높아 12년에 국제암연구소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기도 하였습니다.
내연기관차를 친환경차인 전기차로 대체해나갈 경우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은 일산화탄소(CO), 탄환수소(HC),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등이 있습니다.

자동차로 인한 기후변화
전기차 사용량이 증가하면 내연기관차로 인해 발생되는 대기오염불질, 온실가스 등 배출량이 감소회며 전기차 1대 보급으로 연간 CO2 2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경제적 측면
전기차 연료비(개인용 완속충전기준)
시간대별 전기차 평균 충전요금은 경부하 66원/kWh, 중간부하 108원/kWh, 최대부하 153원/kWh 입니다.
아이오닉(연비 6.3km/kWh) 기준으로 100km당 2,759원이며, 할인카드를 적용했을때 1,132원 비용이 발생합니다.

산업적 측면
전기차와 V2G
V2G는 Vehicle To Grid로, 자동차에서 전력망으로 전기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V2G란 전기차에 저장한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해 전력계통에 연계하는기술을 의미합니다.
이산화탄수의 배출을 줄이면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을 갖추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산업모델로 정착하게 되고 향후 V2G사업자와 수요관리 사업자 등, V2G를 활용하여 피크절감 효과뿐 아니라 선진국과 같은 전력계통 주파수 조정, 신재생에너지 발판 등 다양한 전력보조서비스와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